본문 바로가기
지식 탐구

개기월식, 개기일식의 차이와 종류(ft. 우리나라 관측 가능 일자)

by 탐9탐9 2022. 11. 1.

개기월식-개기일식-차이-종류-대표섬네일
월식과 일식의 종류 및 우리나라에서 관측할 수 있는 날짜를 알려드립니다.

 

지구에서 볼 수 있는 개기월식과 개기일식은 지구, , 태양의 위치와 배열 상태에 따라 생기는 현상입니다. 특히 개기월식 때는 달이 붉게 보이기 때문에 ‘블러드 문’이라고 불리죠.

 

지금부터 월식과 일식의 종류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향후에 우리나라에서 관측할 수 있는 개기월식과 개기일식 날짜도 알려드리겠습니다.

 

 

■ 정의

개기월식과 개기일식 모두 지구, 달, 태양이 일직선으로 배열될 때 나타납니다. 다만 배열 순서에 차이가 있습니다. 그 차이로 인하여 지구에서 바라보는 달과 태양에 변화가 생기게 됩니다. 월식과 일식 모두 지구에서 바라보는 관점으로 천체의 위치와 현상을 이해하시는 게 중요합니다.

 

 1. 월식 

  • 배열 순서 : 태양, 지구, 달 순서로 일렬로 배열되고, 지구가 태양과 달 사이에 있습니다.
  • 현상 설명 : 태양 빛이 지구의 한 면을 비추고 지구의 반대 면에 생긴 지구 그림자에 의해 달이 가려집니다.

 

 

  • 관측 시기 : 1년 2번 정도 밤에 관측할 수 있고 대부분의 지역에서 최대 2시간 가량 관찰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개기월식은 보름달일 때 나타납니다.

 2. 일식

  • 배열 순서 : 태양, 달, 지구 순서로 일렬로 배열되고, 지구 입장에서는 달이 태양을 가리고 있습니다.
  • 현상 설명 : 태양이 달에 완전히 가려져서 순간적으로 하늘에 태양이 없는 듯 깜깜해집니다.
  • 관측 시기 : 낮에 최대 7분 가량으로 매우 짧은 시간에 관측이 가능합니다. 개기일식이 나타나면 대낮에도 하늘이 어두워집니다. 전체 지구 기준으로 약 18개월을 주기로 관측이 가능하지만 매우 특정한 지역에서 관측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에서 평생동안 단 한번도 일식을 볼 수 없을 정도로 희귀한 천체 현상입니다.

 

■ 월식 종류

1. 개기월식

달이 지구 본그림자에 완전히 들어가는 경우로, 달이 완전히 보이지 않는 것이 아니라 검붉게 빛납니다. 이를 두고 블러드문이라고 합니다. 2018년 1월 31일에 슈퍼블루블러드문이 우리나라에서 관측되었습니다.

 

- 슈퍼문 : 지구와 가장 가까운 지점에 위치하여 유난히 크고 밝게 보이는 보름달
- 블루문 : 한달에 한번 뜨는 보름달과 달리 한달에 두 번째로 뜨는 보름달
- 블러드문 : 지구 그림자에 완전히 들어간 보름달(개기월식)이 붉게 보이는 현상으로 지구 대기를 통과한 빛 중에서 붉은 빛만이 달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 노을 빛이 다시 반사되어 지구에서는 달이 붉게 보이는 것입니다.

 

2. 부분월식

달이 지구 본그림자에 일부만 들어가는 경우로, 실제로는 보름달이지만 부분월식동안 반달로 보입니다.

 

3. 반영식

달이 지구의 반그림자를 지나가는 경우로 달의 밝기가 약간 어두워집니다.

 

4. 반영개기식

달이 지구의 반그림자에 완전히 들어가는 경우입니다.

 

- 본그림자 : 지구가 태양을 완전히 막아서, 가장 어두운 그림자 부분을 말합니다.
- 반그림자 : 지구가 태양을 일부만 막아서, 그림자 옅게 나타나는 부분을 말합니다.
※ 태양의 크기가 지구보다 크고 태양과 지구가 둥근 구 형태이기 때문에 태양빛이 지구를 비출 때 본그림자와 반그림자 모두 나타나게 됩니다.

 

 

■ 일식 종류

1. 개기일식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리는 경우로, 달과 태양의 시직경이 동일합니다. 개기일식은 맨눈으로 관측하기도 어려울뿐더러 눈에 치명적인 손상을 일으키기 때문에 전용 보호경을 구입하여 관찰하여야 합니다.

 

2. 금환일식

달의 시직경이 태양의 시직경보다 작아서 태양 전부를 가리지 못하여, 반지 모양의 태양 테투리를 남기는 경우를 말합니다.

 

3. 혼성일식

개기일식과 금환일식이 함께 관측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관측하는 지역마다 태양과 달의 시직경이 동일하거나 태양의 시직경이 더 크게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4. 부분일식

달이 태양의 일부분만 가리는 경우를 말합니다.

 

- 시직경(시지름) : 실제 태양과 달의 지름이 아닌, 지구에서 관측할 때 보이는 겉보기 지름을 말합니다. 지구와 달의 공전으로 인하여 지구와 달, 지구와 태양 간의 거리가 변할 때, 시직경도 함께 변합니다.

다시 말해, 태양이 달보다 실제 크기는 훨씬 크지만, 지구에서 태양이 멀리 떨어져 있고 달이 더 가까워지면 지구 입장에서는 달과 태양이 비슷한 크기로 보이게 됩니다. 이렇듯 지구에서 관측할 때 보이는 천체의 크기를 시직경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 향후 관측 일자

1.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개기월식을 관측할 수 있는 날짜

 

 

  • 2022년 11월 8일, 2025년 9월 7일, 2028년 12월 31일, 2029년 12월 20일

 

2.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개기일식을 관측할 수 있는 날짜

  • 개기일식 : 2035년 9월 2일(고성에서만 관측 가능), 2063년 8월 24일(북한 함북에서만 관측 가능)
  • 금환일식 : 2041년 10월 25일(독도에서만 관측 가능), 2095년 11월 27일(우리나라 대부분 지역에서 관측 가능)

 

 

오늘은 지구에서 관찰하는 우주쇼, 개기월식과 개기일식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또한 붉은 달인 블러문의 실체와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관측할 수 있는 개기월식, 개기일식의 날짜도 확인해보았습니다.

 

전 지구적 달 탐사 계획, 아르테미스 프로젝트

 

달 탐사 계획, 아르테미스 프로젝트 참여국

사람이 직접 달에 착륙하는 것이 목적인 달 탐사 계획, 아르테미스 프로젝트는 미국 NASA와 세계 여러 국가 및 기업이 약정을 맺고 참여하는 국제적인 우주 계획입니다. 우리나라 역시 1972년 아폴

news.6zipsa.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