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도립공원은 전국에 30개, 군립공원은 27개가 지정되어 있습니다. 각 도, 특별자치도, 특별시, 광역시, 지자체 등에서 관할지역 내에서 자연생태계와 경관을 대표할 만한 곳을 도립공원과 군립공원은 지정하고 관리·운영합니다. 도립공원과 군립공원의 지정현황과 위치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 도립공원(30개)
도립공원 또는 광역 시립공원 등으로 불리며, 동등한 위상을 가집니다. 특별시, 광역시 및 각 도에서 지정하여 관리합니다. 지정 순서대로 현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금오산 도립공원 : 1970년 지정, 경북 구미, 칠곡, 김천
- 남한산성 도립공원 : 1971년 지정, 경기 광주, 하남, 성남
- 모악산 도립공원 : 1971년 지정, 전북 김제, 완주, 전주
- 덕산 도립공원 : 1973년 지정, 충남 예산
- 칠갑산 도립공원 : 1973년 지정, 충남 청양
- 대둔산 도립공원 : 1977년 지정, 전북 완주, 충남 논산, 금산
- 마이산 도립공원 : 1979년 지정, 전북 진안
- 가지산 도립공원 : 1979년 지정, 울산, 경남 양산, 밀양
- 조계산 도립공원 : 1979년 지정, 전남 순천
- 두륜산 도립공원 : 1979년 지정, 전남 해남
- 선운산 도립공원 : 1979년 지정, 전북 고창
- 팔공산 도립공원 : 1980년 지정, 대구, 경북 칠곡, 군위, 경산, 영천
- 문경새재 도립공원 : 1981년 지정, 경북 문경
- 경포 도립공원 : 1982년 지정, 강원 강릉
- 청량산 도립공원 : 1982년 지정, 경북 봉화
- 연화산 도립공원 : 1983년 지정, 경남 고성
- 고복저수지 도립공원 : 1991년 지정, 세종
- 천관산 도립공원 : 1998년 지정, 전남 장흥
- 연인산 도립공원 : 2005년 지정, 경기 가평
- 신안 갯벌 도립공원 : 2008년 지정, 전남 신안
- 무안갯벌 도립공원 : 2008년 지정, 전남 무안
- 추자 해양 도립공원 : 2008년 지정, 제주 제주
- 서귀포 해양 도립공원 : 2008년 지정, 제주 서귀포
- 마라도 해양 도립공원 : 2008년 지정, 제주 서귀포
- 성산일출 해양 도립공원 : 2008년 지정, 제주 서귀포
- 우도 해양 도립공원 : 2008년 지정, 제주 제주
- 수리산 도립공원 : 2009년 지정, 경기 안양, 안산, 군포
- 제주 곶자왈 도립공원 : 2011년 지정, 제주 서귀포
- 벌교갯벌 도립공원 : 2016년 지정, 전남 보성
- 불갑산 도립공원 : 2019년 지정, 전남 영광
■ 군립공원(27개)
관할 지자체에서 지정하여 관리합니다. 관할 지자체 이름에 따라, 시립공원이라고도 불립니다. 지정된 시기 순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 강천산 군립공원 : 1981년 지정, 전북 순창군 팔덕면 소재
- 천마산 군립공원 : 1983년 지정, 경기 남양주시 화도읍, 진천면, 호평면 일대
- 보경사 군립공원 : 1983년 지정, 경북 포항시 송라면 소재
- 덕구온천 군립공원 : 1983년 지정, 경북 울진군 북면 소재
- 불영계곡 군립공원 : 1983년 지정, 경북 울진군 울진읍, 서면, 근남면 일대
- 거열산성 군립공원 : 1983년 지정, 경남 거창군 거창읍, 마리면 일대
- 황매산 군립공원 : 1983년 지정, 경남 합천군 대명면, 가회면 일대
- 상족암 군립공원 : 1983년 지정, 경남 고성군 하일면, 하이면 일대
- 호구산 군립공원 : 1983년 지정, 경남 남해군 이동면 소재
- 고소성 군립공원 : 1983년 지정, 경남 하동군 악양면, 화개면 일대
- 봉명산 군립공원 : 1983년 지정, 경남 사천시 곤양면, 곤명면 일대
- 웅석봉 군립공원 : 1983년 지정, 경남 산청군 산청읍, 금서·삼장·단성 일대
- 신불산 군립공원 : 1983년 지정, 울산 울주군 상북면, 삼남면 일대
- 운문산 군립공원 : 1983년 지정, 경북 청도군 운문면 소재
- 화왕산 군립공원 : 1984년 지정, 경남 창녕군 창녕읍 소재
- 구천계곡 군립공원 : 1984년 지정, 경남 거제시 신현읍, 동부면 일대
- 기백산 군립공원 : 1984년 지정, 경남 함양군 안의면 소재
- 입곡 군립공원 : 1985년 지정, 경남 함안군 산인면 소재
- 비슬산 군립공원 : 1986년 지정, 대구 달성군 옥포면, 유가면 일대
- 장안산 군립공원 : 1986년 지정, 전북 장수군 장수읍 소재
- 빙계계곡 군립공원 : 1987년 지정, 경북 의성군 춘산면 소재
- 아미산 군립공원 : 1990년 지정, 강원 인제군 인제읍 소재
- 명지산 군립공원 : 1991년 지정, 경기 가평군 북면 소재
- 방어산 군립공원 : 1993년 지정, 경남 진주시 지수면 소재
- 대이리 군립공원 : 1996년 지정, 강원 삼척시 신기면 소재
- 월성계곡 군립공원 : 2002년 지정, 경남 거창군 북상면 소재
- 병방산 군립공원 : 2011년 지정, 강원 정선군 정선읍 소재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지정 도립공원과 군립공원 현황을 알아보았습니다. 전국의 수려한 산과 바다를 오래도록 보존하는 것을 목적으로 도립공원, 군립공원으로 지정한 만큼, 가까운 자연공원을 방문할 때 보호하고 소중히 하는 마음을 잊지 말아야겠습니다.
국립공원, 도립공원, 군립공원, 지질공원 과태료 변경
11월부터 국가가 지정한 자연공원인 국립, 도립, 군립, 지질공원에서 위법 행위를 하는 경우에 부과하는 과태료가 변경됩니다. 등산과 관광 목적으로 많이 가는 자연공원인만큼, 평소 위법인지
news.6zipsa.com
우리나라 국립공원 지정 현황 및 위치
우리나라의 자연공원은 국립공원, 도립공원, 군립공원, 지질공원으로 구분됩니다. 그중에서 국립공원은 전국에 22개가 있으며 산악형 18개, 해상·해안형 3개, 사적형 1개로 구분됩니다. 지금부터
news.6zipsa.com
우리나라 지질공원 현황 및 지질명소
국가에서 지정하여 운영·관리하는 자연공원 중에서 지질공원이 있습니다. 지질공원은 지구과학적으로 중요하고 경관이 우수한 지역으로 보존과 교육, 관광 사업에 활용하기 위하여 환경부에
news.6zipsa.com
'생활 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평 이함 미술관, 사일로랩 앰비언스 전시 후기 (0) | 2022.11.28 |
---|---|
우리나라 지질공원 현황 및 지질명소 (0) | 2022.11.25 |
우리나라 국립공원 지정 현황 및 위치 (0) | 2022.11.25 |
국립공원, 도립공원, 군립공원, 지질공원 과태료 변경 (0) | 2022.11.25 |
숙근(초) 뜻, 종류 알아보기 (0) | 2022.11.23 |
댓글